엑셀기초 4

[엑셀] 키보드 방향키로 셀 커서 이동이 안될 때 이것을 확인해보세요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얘상치 못한 상황이나 오류 등으로 당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엑셀을 사용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보통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셀 커서를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간혹 엑셀에서 키보드 방향키를 눌렀는데 셀 커서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신 이런 경우에는 셀 커서는 가만히 있는데 시트 자체만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런 일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키보드의 스크롤락(Scroll Lock) 키가 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스크롤락(Scroll Lock) 키란?스크롤락(Scroll Lock) 키는 키보드의 기능 키 중 하나로, 특정 상황에서 스크롤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키 중 하나입니다. 스크롤락 키는 19..

IT 2025.03.12

[엑셀] 셀에 이름을 부여하기 (이름 정의)

셀 주소와 이름 정의엑셀 시트의 각 셀에는 기본적으로 셀 주소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행은 1, 2, 3, 4, 5 ...의 숫자로 열은 A, B, C, D, E ...의 영문자로 구성되어 [A1]셀은 1행의 1열에 해당하는 셀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렇게 이미 각 셀에는 셀 주소가 부여되어 있어서 수식에서 셀을 인용할 때 셀 주소를 입력하여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엑셀을 활용하다보면 수식이 길고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인용된 셀이 많아지기 때문에 수식에서 인용한 셀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헷갈리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 셀에 이름을 부여하여 수식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우리는 주민등록번호나 휴대폰번호, 사원번호, 회원번호 등과 같이 일상에서 개인을 식..

IT 2025.01.07

[엑셀] 화면에 보이는 값과 셀에 입력된 값(셀 서식_표시 형식)

엑셀을 사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여러 가지 지식들 중 화면에 보이는 값과 셀에 입력된 값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셀 서식의 표시 형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먼저 아래 그림을 확인해 보세요.  표시형식: 숫자[A1]셀에는 6이라는 숫자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1]셀에 입력된 값은 항상 6일까요? 위 그림은 [A1]셀에 6이라는 숫자가 보이지만 수식 입력줄에 입력된 값을 확인해 보면 실제로 입력된 데이터는 6.2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위와 같은 사례들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화면에 보이는 값과 셀에 입력된 값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엑셀에서는 각각의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 셀에 입력된 데이터를 시트에 어떻게 표시할지 셀 서식의 표..

IT 2025.01.04

[엑셀] 엑셀의 기본은 데이터의 종류를 이해하는 것

직장인에게 엑셀 활용은 효율적인 업무처리에 필수입니다. 블로그, 유튜브 등을 검색하면 다양한 엑셀 활용 팁을 얻을 수 있는데요. 이러한 활용 팁을 나의 것으로 만들어 내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엑셀의 기본기를 다져 놓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해 볼까 합니다.엑셀은 각 셀에 데이터를 입력해 놓고 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종 연산을 수행합니다. 여기서 셀들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종요합니다. 엑셀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종류는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숫자2. 문자3. 논리값(TRUE, FALSE) 1. 숫자 데이터먼저 숫자 데이터는 1, 2, 3, 4, 5...와 같은 정수부터 3.14, 10.15, ..

IT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