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있는 직장으로 출퇴근을 한다면 대부분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입니다. 최근 서울에서 버스를 이용할 일이 많아지게 되었는데요. 버스를 많이 이용하다 보니 서울 및 수도권 버스 이용에 대한 노하우가 쌓였고 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서울버스 번호의 숨겨진 의미
서울 버스번호에는 일정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구를 권역별로 묶어 번호를 부여하고 이 번호를 이용하여 버스번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0~7번으로 총 8개의 권역이 있고 권역별 자치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0번 권역: 중구, 종로구, 용산구
- 1번 권역: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성북구
- 2번 권역: 동대문구, 성동구, 중랑구, 광진구
- 3번 권역: 강동구, 송파구
- 4번 권역: 강남구, 서초구
- 5번 권역: 동작구, 관악구, 금천구
- 6번 권역: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 7번 권역: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버스번호 첫 번째 자리는 기점에 해당하는 권역 번호이고 두 번째 자리는 종점에 해당하는 권역 번호입니다. 따라서 버스번호에서 앞 2자리를 확인하면 이 버스가 대략 어디에서 어디를 오가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40번 버스 노선을 확인해 보면 은평구(7번 권역)에서 강남구(4번 권역)까지 운행하는 것을 알 수 있고 3413번 버스 노선을 확인해보면 강동구(3번 권역)에서 강남구(4번 권역)까지 운행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광역버스 번호 체계
서울과 인천/경기도를 이어주는 광역버스도 위와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인천광역시와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의 각 시도 아래와 같이 1~7번 권역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 1번 권역: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 2번 권역: 구리시, 남양주시
- 3번 권역: 광주시, 하남시
- 4번 권역: 성남시, 용인시
- 5번 권역: 과천시, 군포시, 수원시, 안산시, 안양시, 의왕시
- 6번 권역: 광명시, 김포시, 부천시, 시흥시, 인천광역시
- 7번 권역: 고양시, 파주시
이렇게 지역별 권역 번호를 알고 있다면 내가 잘 모르는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버스를 이용하기가 좀 더 수월해집니다.
서울버스 유형별 번호체계
- 마을버스: 구 이름 + 2자리 숫자 (예: 강남01, 서초13)
- 지선버스: 기점권역번호 + 종점권역번호 + 2자리 숫자 (예: 3413, 7611)
- 간선버스: 기점권역번호 + 종점권역번호 + 1자리 숫자 (예: 740, 463)
서울버스 환승 팁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서울버스를 이용하면 다른 노선의 서울버스 및 지하철, 인천/경기 버스와 환승할 수 있습니다. 다른 노선 버스로 환승을 할 때 알아두면 좋은 팁 하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환승할인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30분 이내에 환승이 가능하다고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을텐데요. 시간대에 따라서는 60분 이내에 환승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안내에 따르면 21:00부터 익일 07:00까지는 심야시간대로 분류가 되어 환승시간 60분이 적용됩니다. 60분 환승시간이 적용되는 기준은 환승버스 승차태그 시간이 21:00~07:00 사이에 포함되어 있으면 됩니다. 만약 20:25분에 버스에서 하자 후, 21:10에 다른 버스에 승차하였다면 환승버스 승차 시간이 21:00 이후이면서 60분 이내에 승차하였기 때문에 환승할인이 적용됩니다. 반면 06:25분에 버스에서 하차 후, 07:10에 다른 버스에 승차하였다면 환승버스 승차 시간이 07:00 이후이기 때문에 이 때에는 60분 환승시간이 적용되지 않아 환승할인을 받을 수 없습니다. 요약하자면 환승버스 승차 태그 시간에 따라 환승할인 적용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내가 환승하는 버스에 승차 태그를 하는 시간이 21:00~06:59에 해당된다면 환승시간 60분을 적용 받습니다.
'대중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나면 더 재미있는 기내식 상식 3가지 (7) | 2025.04.10 |
---|---|
비행기는 왜 항상 왼쪽 문으로만 탑승할까? (1) | 2025.04.09 |
(2025/04/04) 서울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 무정차 통과 (0) | 2025.04.04 |
(2025/04/03)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무정차 통과 (1) | 2025.04.04 |
(2025/03/23) 서울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열차 탈선사고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