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잘 다룬다는 게 어떤 의미일까요? 컴퓨터라는 개념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한 문장으로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컴퓨터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방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고 처리하며,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자적 기계 장치 또는 자동으로 계산(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기계장치(machines)들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보통 직장인들 사이에서 "너 컴퓨터 잘하는구나."라고 이야기하면 업무에 사용하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의 프로그램이나 업무와 관련된 전산 프로그램을 잘 다룰 줄 안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오류를 해결하는 능력도 포함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직장인이 컴퓨터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까요?
기본에 충실하기
제가 생각하는 컴퓨터를 잘 다루는 직장인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기본에 충실한 것입니다.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에는 무엇이 있고 이것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컴퓨터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동작원리와 기능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있다면 컴퓨터를 잘 다룰 수 있게 됩니다.
학창 시절 수학을 공부했던 것을 떠올리면 이것이 어떤 의미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학을 공부할 때 기본 개념을 학습한 후 이것과 관련된 문제들을 풀었던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기본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였더면 내가 접하지 않은 유형의 문제가 나오더라도 공부한 개념을 이용하여 고민을 하다 보면 문제를 풀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기본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내가 접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문제는 풀 수 없게 됩니다.
저는 컴퓨터를 다루는 것도 수학을 공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내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있을 때 컴퓨터의 어떤 기능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스스로 해결방법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의 기본 지식이 없다면 내가 처리해 보았던 일은 과거의 경험으로 처리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것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자기주도학습
컴퓨터는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분야입니다. 새로운 기술과 이를 응용한 소프트웨어 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며, 기존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도 빈번하게 이루어집니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반복되는 업무에 익숙해져서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어 자기개발에 소흘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꾸준한 자기개발을 하지 않으면 컴퓨터를 잘 다루던 사람도 새로운 기술과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시대의 흐름에 뒤쳐지게 됩니다.
최근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이 큰 관심사로 떠오르게 있습니다. 기존에 컴퓨터를 잘 다루던 사람도 이제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 정보를 찾아보면서 스스로 자기개발을 하지 않으면 시대의 흐름이 뒤쳐지게 됩니다. 새로운 기술과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부를 계속하면서 이것을 내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본다면 계속해서 컴퓨터를 잘 다루는 직장인으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해결능력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하드웨어 문제로 컴퓨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소프트웨어에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고 업무 관련 전산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이때 내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 관련 지식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요즘은 각종 IT 관련 커뮤니티나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서도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검색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문제해결능력 중 하나입니다. 내가 컴퓨터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알고 있느냐에 따라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남들보다 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만 했을 뿐인데 돈을 번다고? 여기서 가능합니다! (4) | 2025.01.18 |
---|---|
인터넷 시대의 종말을 위협하는 스플린터넷의 등장 (5) | 2025.01.14 |
미래의 아이폰은 어떤 모습일까? (1) | 2025.01.11 |
[엑셀] WEEKDAY 함수와 조건부 서식을 활용한 만능달력 (2) | 2025.01.08 |
[엑셀] 목돈으로 대출을 상환할까? 저축을 할까? (목표값 찾기) (6) | 2025.01.08 |